보건복지부는 국민들에게 보건복지 관련 정책과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상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129 보건복지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하 '129 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앱은 특히 언어·청각장애인을 위한 영상(수어) 상담, 채팅 상담, 카카오톡 상담, 챗봇 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모든 국민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먼저, 129 앱의 기본적인 기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 앱은 사용자가 건강과 복지에 관한 질문이나 상담을 요청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전화 상담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대면 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앱을 통해 직접 상담을 요청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최근 129 앱은 여러 가지 면에서 개편되었습니다. 2014년에 처음 출시된 이후, 앱의 기능이 노후화되어 오류가 발생하거나 상담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복지부는 11년 만에 '129 앱'을 전면 개편하여 새로운 기능과 서비스를 도입하였습니다.

이번 개편을 통해 추가된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어영상상담: 언어·청각장애인도 스마트기기의 제약 없이 수어영상상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담사가 상담 중인 경우 예약 기능을 통해 대기하지 않고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어 영상 상담은 청각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로, 전문 상담사가 수어로 상담을 진행합니다.


24시간 챗봇상담: 24시간 운영되는 챗봇 상담은 언제든지 사용자가 질문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보건복지 관련 정책 문의는 365일 24시간 챗봇 상담을 통해 언제든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상담: 상담 대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고도화된 카카오톡 상담 서비스를 통해 보다 빠르게 상담사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웹채팅상담: 카카오톡을 사용하지 않는 국민들도 로그인 없이 웹채팅 상담을 통해 전문상담사와 빠르게 연결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상담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큰 편리함을 제공합니다. 특히, 상담 대기 시간이 줄어들고, 언제 어디서나 쉽게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이번 개편을 통해 '129 앱'은 기존의 노후화된 시스템으로 인한 오류와 긴 상담 대기시간 등의 문제를 개선하였으며, 모든 국민이 차별 없이 편리하게 상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129 앱은 무료로 제공되며, 누구나 쉽게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129'를 검색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보건복지부는 앞으로도 앱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사용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더욱 발전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이미 '129 보건복지부' 앱을 사용 중인 경우,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신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모바일 앱에서 제공하는 상담 서비스는 보건복지상담센터 누리집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129 앱은 보건복지 상담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훌륭한 도구입니다. 앞으로도 많은 분들이 이 앱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얻고, 상담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